본문 바로가기

SAP_LOG남기기

[SAP-MM] 재고실사 차이 처리(MI10 vs MI01>MI04>MI07)

728x90

재고실사시 차이분 처리를 위하여 아래의 tcode가 주로 사용됩니다.

MI10 - Create List of Differences w/o Doc.

즉 문서(Document)없는 상태에서 차이분을 만들어서 포스팅합니다.

60 material의 공동분 재고가 258개인데 실사 수량이 260개일때

MI10에서 해당 count date, doc. date, plant, storage location을

입력하고 엔터

material과 실제 counting 수량 입력후 저장

최종적으로 Physical Inventory Document와 material document가 생성됩니다.

2개가 더 포스팅되었습니다.

 

저희 감사 지적사항에는 MI10으로 difference를 처리하는 것은 부적합하고

승인되지 않는다고 하였고 이 t-code는 사용하지 말것을 요청받았습니다

다른 방법을 찾아보니

아래의 tcode를 사용하여 동일한 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순서대로

1. Physical Inventory Document를 생성하고

2. 해당문서에 실제 counting 수량을 입력하여 저장하고

3. 실제 차이수량을 확인하고 posting을 한다.

1. MI01 - Create Physical Inventory Document

--> Physical Inventory Document를 먼저 만들어 줘야 합니다.

아래와 같이 적절한 옵션을 사용하시면 되고

*posting block : 물리적 재고 문서에 나열된 자재와 관련된 상품 이동은 물리적 재고 수량 계산 기간 동안 게시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 Freeze book Inventory : 아직 계산되지 않은 물리적 재고 문서의 해당 품목의 장부 재고 잔액을 동결하도록 지정합니다.

* Batches w. del. flag : 삭제 플래그가 지정된 배치도 선택에 포함됨을 나타냅니다.

material을 입력후 저장

Physical inventory document가 생성됩니다.

2. MI04 - Enter Inventory Count with Document

MI04 로 이동하면 자동으로 Phys. Inventory Doc.번호가 나타나고

Fiscal year(회계년도)와 count date입력후 엔터

 

*Variance in % : 백분율 차이: 재고 수량 계산 결과/장부 수량

계산된 재고 수량과 장부 재고 수량 간의 백분율 차이. 이보다 높으면 시스템이 계산 결과 입력 시 경고 메시지를 발행합니다.

counting 수량을 넣고 저장

Phys. Inv. doc에 counting된 수량이 입력됩니다.

3. MI07 - Process List of Differences

내용 확인후 엔터

차이수량 확인후 저장을 눌러 포스팅을 진행합니다.

해당 Phys.Inv.Doc의 내용을 material document가 포스팅 되었습니다.

해당 storage location에 재고가 270개로 늘어났습니다.

3개 tcode의 절차를 거쳐서

안전하게 문서를 만들고 해당문서에 실사 수량을 입력하여

마지막에 최종 차이나는 수량을 확인해서 포스팅하게 됩니다.

이상 재고실사 차이 posting 비교 내용이었습니다.

공감/좋아요 부탁드립니다.

728x90